반응형 삶에 힘이 되는 정보/삶에 힘이 되는 글25 미국 대선 뽀개기 4년마다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오는 11월 3일 어느덧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미국의 국제 사회에서의 영향력 때문에 미국의 대선 때만 되면 전 세계의 이목이 미국 국민의 선택에 집중됩니다. 이렇듯 전 세계의 관심을 끄는 선거이지만, 뉴스 보도를 통해 이를 접하다 보면 “국민들로부터 더 많은 표를 받았으나 낙마하였다”라는 등의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복잡함에 이해하기를 포기한 채 결과만을 확인하기 일쑤였습니다. 오늘은 미국 대선을 완벽히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미국 대통령 후보자의 자격 미국 대선에 후보자로 등록하려면 일정한 자격 요건이 필요합니다. 미국에서 ‘태어난’ 미국 국민으로서, 미국에서 14년 이상 거주한 만 35세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 2020. 10. 29. 색의 비밀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무엇인가요? 뇌에서 받아들이는 오감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80~90%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는 매일 다양한 색깔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사람의 눈이 분간할 수 있는 약 750만 가지의 색깔 중 사람마다 끌리는 색깔이 다르고, 또한 동일한 사람이라도 기분과 몸의 상태에 따라 끌리는 색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몸과 마음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특정 영역의 파장을 본능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따른 결과입니다. 반대로 물체에 반사된 빛 에너지가 인간의 감정을 관장하는 시상하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사람의 몸과 마음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특히 각각의 색깔이 가지는 고유의 파장과 에너지가 사람의 신체와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신체 기능, 생체 리.. 2020. 10. 23. 향기-기억의 열쇠 (feat. 향기 마케팅, 아로마 테라피) 3년 전 어느 가을날 한적한 시골길을 걷고 있던 중 맞은편에서 거대한 흰 구름이 굉음과 함께 빠른 속도로 다가온다. 놀란 마음에 눈을 가늘게 뜨고 자세히 들여다보니 소독차, 일명 방구차가 나를 향해 달려오는 것이었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저런 구닥다리 방역을 하느냐”는 생각과 함께 미간을 찌푸리며 얼른 입을 틀어막고 걸음을 재촉한다. 소독차와의 거리가 좁혀지며 허술한 손 틈 사이로 소독약의 향기가 코 끝을 스치는 순간 마친 한 편의 영화와 같이 어린 시절 친구들과 방구차를 따라다니던 어느 여름날의 장면이 눈 앞에 펼쳐진다. 몇 분이나 지났을까? 정신을 차리고 보니 발걸음을 멈추고 얼굴에 미소를 띤 채 소독약을 마구 흡입하고 있던 나를 발견했다. (레알 감동 실화입니다. 😊) 여러분은 혹시 이런 경험 .. 2020. 10. 21. 핑크뮬리는 도대체 무슨 잘못을 하였을까?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제주지역의 핑크뮬리를 모두 제거하기로 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뉴스의 제목만 보았을 땐 최근 핑크뮬리 군집소가 사진 명소로 떠오르면서, 코로나의 확산을 우려하여 6개월 전 먼저 ‘희생’된 유채꽃과 같이 “또 다시 죄 없는 식물이 몹쓸 바이러스 때문에 희생되는구나”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뉴스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놀랍게도 핑크뮬리는 이번 생태계 위해성 평가에서 2급 판정을 받게 되어 지금 당장 국내의 모든 식용 수입되었으나 큰 인기를 끌지 못하여 농가에서 방생하거나 탈출한 생존력과 번식력을 바탕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며 1998년 1급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압도적인 동족끼리도 잡아먹는 등을 말 그대로 닥치는 대로 잡아먹으며 토종 생태계의 최상위를.. 2020. 10. 19. 당신의 아이는 스마트기기의 유혹에서 자유로운가요? 우연히 보게 된 영상에서 1돌이 갓 잃은 듯 대성통곡을 하며 금세 건네주니 언제 그랬냐는 듯 천사와 같은 미소로 활짝 웃는다. 처음 이 영상을 희로애락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요즘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 같아 씁쓸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의 아이들은 스마트기기의 유혹에서 자유로운가요?오늘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에의 노출 실태와 이에 대한 문제 해결책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아이의 중독? 부모의 중독!" 육아정책연구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이들의 스마트기기에의 노출 시기는 평균 2.27세이고, 만 2세 아하 영유아의 약 50%가 스마트기기에 노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이른 시기에 많은 아이가 스마트기기에 노출되고 있는 이유는 아이들의 관심을 못이겨 이 방법 저 방법 다 써보다 결국엔 강력한 .. 2020. 10. 6. 꿈이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 여러분은 꿈을 자주 뒤져보신 경험이 한 번 날려보신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돼지 떼에 현혹되어 복권을 사보신 적 한 번쯤은 있으시죠? :) 오늘은 궁금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꿈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꿈이란” 꿈은 수면 중에 던디TV를 보고 자란 사람들의 경우 약 25%가 흑백으로 된 꿈을 꾸지만, 컬러 과정’을 통해 우리는 꿈속에서 전혀 새로운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분명 어디서 과정’을 통해 우리는 현실에서는 도무지 풀릴 것 같지 않던 문제에 대한 번뜩이는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영국의 여류작가 메리 멘델레예프는 연구 중 깜빡 잠든 동안 꿈에서 나타난 표를 통해 현대 화학의 근간을 이루는 주기율표를 발견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렇듯 뇌에 저장된 기억들.. 2020. 9. 2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